2020년 4월부터 국가에서 청-년세대들을 위한 지원대책을 시행하기로 발표했는데요.
시행되기 이전부터 파격적인 조건 때문에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졌습니다.
그동안 내일채움공제만 알고계셨다면, 경기도 오산!
오늘 제가 청년 적금통장은 어떤 종류가 있는지와 각 저축에 따른 조건과 혜택을 정리해 보았습니다!
[서울] 희망 두배 청년통장
첫 번째로 희망두배 청·년·통·장은 만 18세 ~ 34세의 서울시에 거주하는 청-년들을 대상으로 만들어진 청년저축계좌입니다.
또한 현재 근로하고 있거나 최근 6개월 안에 재직했던 경력이 있고
또는 부모 및 배우자의 소득 합의
중위소득 80% 이하의 경우 신청할 수 있습니다.
납입 금액은 5만 원, 10만 원, 15만 원 중에서 선택할 수 있으며, 납입 기간도 2년~3년으로 조절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.
본인이 납입한 금액만큼 추가로 쌓이고 총 저축액에 이자까지 계산되어 받을 수 있습니다.
예를 들어 15만 원씩 3년 동안 모았다면, 540만 원 X2 = 1080만 원+이자 만기 예금액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이 통장의 신규 모집은 2020년 6월에 예정 되어 있고, 신청은 아래 링크에서 가능합니다.
https://account.welfare.seoul.kr/youth/index.action
[경기]일하는 청년통장
서울시 청-년들만 혜택을 받을 수 없죠? 경기도에서도 청-년들을 위한 청년 적금통장 혜택이 있습니다.
만 18세~34세 중위소득 100% 이하의 소득을 가진 가구 구성원을 대상으로 현재 근로소득이 있어야 합니다.
그리고 경기도 거주자를 기본 대상자로 하지만 경기도에 있는 직장에 근무하는 사람도 대상입니다.
※중위소득이란?
총 가구 중 소득 순으로 순위를 매긴 후
정확히 가운데를 차지한 가구의 소득을 말한다.
혜택
3년 동안 한 달에 10만 원씩 저축을 해야 하며
3년 만기가 되었을 때 1000만 원이 지급됩니다.
신청자격 확인은 페이지에서 간단한 설문조사로 확인 가능합니다.
신청 및 자격요건 확인은 이곳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.
https://account.jobaba.net/main/main.do
청년 희망키움 통장
세 번째 청년 적금통장은 차상위계층(중위소득 50%에 해당하는 가구의 구성원)을 대상으로 하는 청년저축계좌입니다. 연령은 만 15세 ~ 39세의 청-년 아르바이트나 임시직 종사자도 신청이 가능합니다.
3년 동안 매월 10만 원씩 저축하면 추가로 30만 원씩 지원받아 만기에 1440만 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!
참고로 청년내일채움공제와는 중복으로 신청할수 없기 때문에 청년 적금통장과 비교하여 어느 쪽이 나에게 유리한 청년저축계좌를 선택하시길 바랍니다.
이 링크에서 신청자격 확인 및 신청이 가능합니다.
http://www.hopegrowing.com/index.jsp
'유익한 꿀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워킹홀리데이! 이젠 국내로! 서울 청년지역 프로젝트 (0) | 2020.04.28 |
---|---|
20~30대를 위한 복지! 경기도 청년 복지포인트 (0) | 2020.04.26 |